드라마나 영화 한 편이 완성되기까지는 수많은 스태프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연출, 촬영, 조명, 동시녹음, 미술, 의상, 분장, 제작, 안전 등 각 부서가 맡은 역할을 정확히 이해하고 유기적으로 협업해야만 고품질 콘텐츠가 탄생합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제작 현장에서 사용하는 주요 스태프 부서명, 직책, 현장 호칭, 영어 약어까지 완벽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영화과 학생, 신입 스태프, 현장 경험이 부족한 분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입니다.
1. 연출부 (Direction Department)
연출부는 작품의 전반적인 흐름을 설계하고, 현장을 통솔하는 핵심 부서입니다. 감독의 의도를 실현시키는 최전방에서 배우와 스태프, 모든 부서 간의 가교 역할을 합니다.
- Director (감독) – 창작의 정점에 있는 리더. 대본 해석, 연출 콘셉트 기획, 배우 연기 디렉팅, 시각적 톤 총괄 등 작품 전체의 방향성을 설정합니다.
- 1st AD (조감독) – 촬영 스케줄 수립, 콜시트 작성, 현장 운영 총괄. 감독과 제작팀을 연결하며 현장의 모든 흐름을 통제합니다.
- 2nd AD (2 조감독) – 배우 리허설 준비, 이동 경로 안내, 의상·분장 체크 등 디테일한 현장 케어를 담당합니다.
- PA (연출부 막내) – 일명 ‘막내 연출’. 프린트, 심부름, 식사 확인, 무전 체크 등 연출부 전반의 실무를 지원합니다.
2. 촬영부 (Camera Department)
촬영부는 카메라를 통해 감독의 시각적 의도를 구체화하는 부서입니다. 구도, 초점, 움직임, 렌즈 선택 등 영상미를 결정짓는 핵심 파트입니다.
- D.P. (촬영감독) – 전체 촬영 콘셉트를 설정하고 카메라의 움직임과 스타일을 감독과 협의해 구현합니다.
- 1st AC (포커스풀러) – 초점을 정확히 맞추는 역할로, 피사체와 렌즈 거리 계산이 핵심. 화면의 선명도를 책임집니다.
- 2nd AC (로더) – 장비 이동, 렌즈 정리, 마킹 테이프 부착, 슬레이트 치기 등 물리적 촬영 지원을 담당합니다.
- VTR (비디오 오퍼레이터) – 카메라 출력을 감독 모니터로 전달하고, 재생/녹화/저장을 관리합니다.
3. 조명부 (Lighting Department)
조명부는 빛을 통해 분위기와 감정을 조율하는 기술자들입니다. 영상의 전체 톤을 결정짓는 역할로, 현장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마법사라 할 수 있습니다.
- Gaffer (조명감독) – 감독과 D.P. 의 연출 의도를 조명으로 구현하는 책임자. 전체 조명 구조와 장비 운용을 설계합니다.
- Best Boy (부조명) – 조명 장비 관리, 케이블 분배, 전력 관리 등을 책임지는 조명팀의 부팀장입니다.
- Lighting Technician – 실제 현장에서 램프 설치, 조명 포지셔닝, 장비 해체까지 손발이 되어 움직이는 스태프입니다.
4. 동시녹음부 (Sound Department)
동시녹음부는 현장에서 수음되는 모든 소리를 관리합니다. 대사, 발소리, 배경음 등 모든 사운드를 원본으로 확보하는 중요한 부서입니다.
- Production Sound Mixer (음향감독) – 붐 마이크, 와이어리스, 현장 음향 전반을 믹싱하고 녹음하는 책임자입니다.
- Boom Operator (붐맨) – 장면에 따라 붐 마이크를 조정해 깨끗한 대사를 수음합니다. 팔의 힘과 인내가 필요한 직책입니다.
- Utility Sound – 무선 마이크 장착, 배터리 교체, 케이블 정리 등 음향 세팅을 지원합니다.
5. 미술부 (Art Department)
미술부는 화면 속 공간을 디자인하는 부서로, 이야기의 배경을 구성합니다. 세트, 소품, 색채까지 모두 다루며 ‘보이지 않는 연기자’라 불리기도 합니다.
- Production Designer / Art Director – 미술 콘셉트를 설정하고 전체 톤을 조율하는 총괄 책임자입니다.
- Set Designer – 세트의 구조 설계, 재질 선택, 색감 조정 등을 담당합니다.
- Props Master – 장면별 필요한 소품을 조사·준비·관리하는 핵심 직책입니다.
- Prop Assistant – 소품 운반, 정리, 배치 등 실무를 지원합니다.
6. 의상·분장부 (Costume & Make-up)
배우의 캐릭터를 완성시키는 마지막 손길. 인물의 성격, 계급, 시대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역할입니다.
- Costume Designer – 전체 의상 콘셉트를 설정하고 제작을 지휘합니다.
- Wardrobe Stylist – 촬영 의상 준비, 피팅, 관리, 보관을 담당합니다.
- Make-up Artist – 배우의 얼굴·피부·상처·감정선을 메이크업으로 표현합니다.
- Hair Stylist – 헤어 스타일링을 통해 캐릭터의 시대감, 감정 상태 등을 묘사합니다.
7. 제작부 (Production Department)
제작부는 전체 현장의 실질적 운영을 담당하는 ‘현장 운영 사령탑’입니다. 예산, 인력, 식사, 차량 등 모든 환경을 관리합니다.
- Producer (PD) – 기획, 투자 유치, 스태프 섭외, 제작 총괄을 담당하는 핵심 제작자입니다.
- Line Producer – 스케줄 조정, 촬영 예산 집행, 현장 운영 총괄을 맡는 실무 책임자입니다.
- Production Manager – 식사 시간 조율, 장소 예약, 차비 정산 등 현장 실무 전반을 처리합니다.
- Transport Team – 배우 및 장비 이동을 전담하며, 촬영 차량을 관리합니다.
8. 기타 부서 (기술/안전 등)
- Script Supervisor – 장면 간 연속성, 대사 정확도, 세트 변화 등을 체크하는 기록자이자 관찰자입니다.
- VFX / SFX Supervisor – CG, 특수 폭발, 불, 비 등 시각적 효과를 설계하고 실행합니다.
- Safety Officer – 배우 및 스태프의 안전을 보장하며 위험 상황에 대비하는 안전 관리자입니다.
마무리
한 편의 영상은 감독 혼자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수십 명의 스태프가 각자의 역할을 정확히 이해하고 유기적으로 협업할 때 비로소 좋은 작품이 만들어집니다.
모든 역할은 하나의 목표로 향합니다 – 더 좋은 이야기, 더 생생한 영상, 더 감동적인 작품.
'영화,드라마 보조출현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영화 일일 촬영계획표(Call Sheet) 보는 법과 실전 예시 (0) | 2025.06.01 |
---|---|
메소드 연기의 모든 것: 이론부터 실전까지 (0) | 2025.05.21 |
보조출연 경험자가 알려주는 모든것? (0) | 2025.04.08 |
영화,드라마 보조출연자 겨울아이템 (0) | 2025.04.08 |
보조출연자 카메라 위치 찾는방법 (0) | 2025.04.07 |